실제로 가장 중요한 외부 인터넷에서 Private EC2 인스턴스에 있는 서버로 Request를 보내는 부분을 적용했다.
ALB로 트래픽을 받고 각 EC2(유저서버, 채팅서버, 소켓서버)로 라우팅 처리했다.
유저서버와 채팅서버는 nest.js로 80번 포트를 사용
소켓서버는 express.js로 3000번 포트를 사용했다.
ALB는 HTTPS 443번 포트로 트래픽을 받아서 /chat과 /user로 각각 경로를 설정해 유저서버에 요청과 채팅서버의 요청을 받을 수 있게 했다.
소켓서버와의 연결은 HTTPS 3000번 포트를 열고 3000번 포트로 라우팅을 했다.
유저서버와 채팅서버는 라우팅테이블로 연결된 RDS(mysql)을 사용하며,
소켓서버는 DynamoDB(nosql)에 채팅메시지 관련 정보를 관리한다.
EC2서버에서 외부 인터넷으로 연결을 위해 public subnet에 NAT gateway를 설정하고 VPC에 interget gateway를 생성
라우팅테이블을 통해 private subnet -> rt -> nat gateway / public subnet -> rt -> internet gateway로 연결을 했다.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elb/2.0 503 error (0) | 2024.04.29 |
---|---|
프론트엔드 4명이 만드는 채팅 웹사이트(+ AWS) 3부 (0) | 2024.04.17 |
프론트엔드 4명이 만드는 채팅 웹사이트(+ AWS) 2부 (0) | 2024.04.16 |
프론트엔드 4명이 만드는 채팅 웹사이트(+ AWS) 1부 (0) | 2024.04.09 |